x

사이트맵

동호회 목록
[ 세상을 만나는 또 하나의 길을 디자인합니다. ]
 >  북부복지관 >  동호회
국민연금과함께하는 천애원봉사활동이 6월17일금요일 결정되었음을 알려드립니다^^~
16-05-03 06:22 2,336회 0건


울희망바이러스&독서클럽동호회원님들!의 위대함
2016년 첫 봉사활동 천애원의위문공연이 무산될 위기에 처했었으나 회원님들의 끈기와 희망으로 6월17일금요일로 이월 치르게 되어 성원하게 되었음을 아래의 첨부글로 대신해 진심으로 감사말씀 드립니다! ^^~ ☞최준영반장 드림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★마음에는 한계가 없다★ 양쪽 팔다리를 전혀 움직이지 못하는 여성이 있다. 그녀는 40여년을 그렇게 살아왔다. 불행은 그녀가 막 꽃을 피기 시작하는 열일곱 살의 여고생 때 찾아왔다. 그녀는 언니와 강가에서 수영을 즐기고 있었다. 그러던 중 다이빙을 하겠다며 뛰어내렸다. 불행히도 바위에 머리를 부딪쳐 졸지에 사지가 마비된 환자가 되고 말았다. 몸 아래쪽 모든 감각을 완전히 잃어버렸다. 평생 팔다리도 전혀 움직일 수 없게 되었다. 대학에 들어가려던 꿈은 산산조각이 나 버렸고 모든 걸 남의 손에 매달려 살아가야만 했다. 침대에서 일어나고 세수를 하고 머리를 빗고 밥을 먹고 이를 닦는 것... 이 모든 사소한 일상의 것들이 모두 다 말이다. 이렇게 살 바에야 뭐 하러 산단 말인가. 차라리 죽는 게 백 번 낫지. 어쩌다 휠체어를 타고 외출이라도 하는 날이면 굴러 떨어질 만한 높은 곳을 찾아 두리번거리곤 했다. 그녀는 이 세상 그 누구보다 불행한 사람이었다. 지도교사가 처음 붓을 입에 물려주며 그림 그리는 법을 가르쳤을 때, 그녀는 자신도 모르게 붓을 거칠게 내 뱉었다. 이런 건 장애인들이나 하는 거죠, 난 아니에요. 모든 것을 철저하게 불행의 눈으로 바라보았다. 완전히 마비되어 흐느적거리는 자신의 팔다리만 보고 살았다. 자신의 내면 깊숙한 곳에 무엇이 들어있는지는 전혀 거들떠보지를 않았다. 그저 불행, 저주, 죽음만을 꿈꾸며 살았다. 그러던 어느 날, 그녀는 한 사지마비 환자가 연필을 입에 물고 알파벳을 힘겹게 써내려가는 것을 목격했다. 호흡기에 의존한 채 입조차 제대로 움직이지 못하는 남자였다. 그는 경건한 자세로 알파벳 세 글자를 천천히 그러나 또박또박 써나갔다. 평화와 감사에 가득 찬 얼굴이었다. 순간, 그녀이 얼굴이 화끈 달아올랐다. 자신은 그동안 마비된 팔다리만 바라보며 살아왔지만, 그 남자의 얼굴에서는 육신의 한계를 뛰어넘는 찬란한 내면의 빛이 발산되고 있었다. 그제야 그녀는 자신을 남의 눈으로 보다 깊이 있게 바라볼 수 있었다. 그 순간까지만 해도 저는 남들과 비교해 못 가진 것만 바라보며 살아왔어요. 혼자서 일어날 수도 없고 먹을 수도 없고, 이를 닦을 수도 없고... 그런 피상적인 것들만 바라보았죠, 그러다가 팔다리가 인생의 전부는 아니라는 걸 깨달았어요. 그러면서 제 내면에 감춰진 것들을 하나 둘 꺼내 나가기 시작했죠. '팔다리는 바로 나'라는 생각을 하니, 팔다리가 마비되자, 자연히 자신도 마비되었다. 인생은 끝장났다고 믿었다. 하지만 생각을 돌려보니 그게 아니었다. 팔다리는 인생의 수천가지 면들 가운데 불과 한 두 면에 불과했다. 한 두 면에 집착해 나머지, 수천가지 면을 외면하며 살아왔던 것이다. '나를 팔다리 이상의 존재'로 바라보자. 마비된 팔다리를 뛰어넘는 숨어있는 능력들이 꽃을 피우기 시작한 것이다. 그녀가 붓을 입에 물고 그림 한 점을 그리는 데는 평균 6~7개월이 걸린다. 하지만 그녀는 행복했다. 내면의 무한한 가능성을 뽑아내는 일이 재미있기 때문이다. 그림을 그릴 때마다 제 한계는 없다는 걸 느껴요. 팔다리가 할 수 있는 건 한계가 있지만, 마음으로 할 수 있는 건 한계가 없으니까요? -김상운의 <왓칭>-

 



개인정보처리방침 |  이용고객권리안내  |  이메일무단수집거부  |  뉴스레터 신청 |  온라인상담

우)01772 서울특별시 노원구 덕릉로 70가길 92 (상계6,7동 771번지)
| E-mail : snwcd@daum.net

Copyright&copy;서울시립북부장애인종합복지관 All right reserved. Designed by 미르디자인